Oracle Cloud Free Tier 가입 (06.07 최종 수정)
Amazon의 AWS, Microsoft의 Azure 등에 이어서 후발주자로 출발한 Oracle은 후발주자라는 특성 때문일까 홈랩 유저에게는 상당히 유용할 Free Tier 서비스를 제공한다.
내 목적은 우선 해외에 VPN 서버를 두는 것이며 두 번째로 Uptime Kuma라는 서비스를 설치할 계획이다.
https://www.oracle.com/index.html
우선 무료 서비스를 이용하든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든 가입이 필요하니 Oracle 홈페이지에 접속하자.
Free Tier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순서대로 기입하고 인증 메일이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
인증 메일의 인증 버튼을 클릭하면
앞서 입력한 정보에 이어서 다른 정보들을 더 기입하게 되는데, 이때 선택하는 홈 영역은 적힌 대로 등록 후에는 변경할 수 없으니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하자.
보통 서울을 선택할 것이며 해외 VPN 등이 필요하다면 도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밑에 Arm Ampere A1 인스턴스 가용성이 제한적이라는 글귀가 적혀있는 것이 눈에 보인다.
주소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쭉쭉 넘어가자.
검증 단계에서는 결제 수단을 요구한다. Visa, MasterCard, Amex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결제수단이 등록이 되면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소액을 결제하고 곧바로 취소된다.
그리고 이제 기다리면 된다.
생성은 최대 15분이라 하였지만 실질적으로 대략 3분 정도 걸린 것 같다.
메일이 올 때까지 얌전하게 기다리면 금방 간다.
오라클 클라우드로 로그인한 모습이다. 딱히 중요하진 않지만 설문에는 응답을 해주자.
취미생활인 만큼 Hobbyist에 체크를 했다.
영어 공포증이 있는 나는 설정을 한국어로 바로 바꿔줘야 한다.
상단의 알림을 확인하면 계정이 프로비저닝 중이라고 한다. 그동안 이것저것 둘러보면 금세 프로비저닝이 완료되었다고 메일이 도착한다.
그렇다면 마침내 VM을 생성할 수 있다.
설정은 이것저것 상세하게 가능하겠지만 Free Tier인 만큼 자유롭지는 않다. (현재는 무료 평가판이므로 설정 자체는 가능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미지와 VM이 실행될 인스턴스일 것이다.
기본 세팅은 Oracle Linux와 AMD EPYC 7551 1C, 1GB, 480MBps의 사양을 가진 인스턴스이다.
이미지는 Free Tier 기준으로 Windows를 제외하고 5개를 선택할 수 있다.
난 그나마 익숙한 Canonical Ubuntu를 선택했다.
인스턴스의 경우에는 이미지보다도 더 제한적이다. Free Tier인 것을 감안하면 아무래도 상관없기도 하다.
좌측이 기본 세팅이며 우측이 최근에 새로 추가된 ARM 기반 Ampere 인스턴스이다.
메모리는 물론이고 네트워크 대역폭도 다르다.
나는 물론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었던 ARM 인스턴스에 VPN을 설치할 것이다. 대역폭도 1Gbps나 되고 말이다.
SSH 키의 경우에는 새로 생성해서 업로드할 수도 있지만 귀찮고 잘 보관할 자신이 있으므로 자동으로 생성되는 키 쌍을 사용하기로 한다.
전용 키와 공용 키 둘 다 저장해 주자.
다른 옵션을 더 만질 수도 있겠지만 앞에서도 말했듯이 Free Tier인 만큼 제한적이다.
그냥 바로 생성해도 무방하다.
생성을 눌렀더니 우려했던 문제가 발생했다.
가입할 때도 보았던 "Arm Ampere A1 인스턴스 가용성이 제한적"이라고 했으니 그럴 만도 하다.
한 3일이나 5일 정도 더 시도해보고 실패하면 다른 방법을 써봐야겠다.
04.30 추가
성공한지는 10일쯤 되었지만 시험기간이라는 핑계로 미루다가 지금에 와서야 추가한다.
우선 최저 세팅은 아니지만 그럭저럭인 세팅으로 맞춰놨던 스펙을 Free Tier에서 가능한 최대의 스펙으로 올려준다.
https://docs.oracle.com/en-us/iaas/Content/FreeTier/freetier_topic-Always_Free_Resources.htm
Always Free Resources
200 GB total of combined boot volume and block volume Always Free Block Volume storage. Five total volume backups (boot volume and block volume combined). When you create a compute instance, the default boot volume size for the instance is 50 GB, which cou
docs.oracle.com
위 링크의 문서를 참고하면 이러한 단락이 나온다.
간단하게 말해, 내가 선택한 ARM 인스턴스에서는 4 OCPU와 24GB Memory가 최대 스펙이다. (Free Tier에서는 말이다.)
어찌 되었든 스펙을 올려주고 확인해주도록 하자.
네트워크 대역폭도 1Gbps에서 4Gbps로 올라간 것이 보인다. 1OCPU당 1Gbps인가?
이제 만들어진 VM을 가지고 연결하고 VPN을 설치하는 것은 다음 게시물로 남겨야겠다.
시험도 끝났는데 좀 성실하게 살아야 할 텐데.. 이건 또 언제 할지 걱정(?)된다.
06.07 추가
Oracle Cloud 사용 연기
무료 기간인 동안 SSH로 접속도 해보고 잠깐 만져보기까지는 했지만 이런 소식을 들었다. 'ARM 인스턴스의 경우, 체험기간이 종료되면 무료 계정에 한해서 인스턴스를 회수한다.' 이는 진실임을
huie.tistory.com
지금 당장은 사용을 안 하기로 결정했다. 글은 예전에 썼지만 관련이 있기에 지금에 와서 링크해둔다.